반응형
오늘은 금융자산 분류에 대한 기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기존에는 회사에서 임의로 금융자산을 분류했다면,
IFRS1109호에서는 분류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중요한 분류기준이라고 할 수 있는 SPPI TEST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SPPI 의미 : Solely Payments of Principal and Interest의 약자를 말합니다.
-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금과 이자의 지급만으로 이루어진 것
■ 어디에서 사용하는 개념인가?
- IFRS 1109호("금융상품)에서 금융상품의 분류 및 측정에 사용되는 개념입니다.
■ 실무상 어떻게 사용되는가?
- SPPI의 요건에 해당되면 AC(상각후원가)금융자산, FVOCI(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으로 분류해야하고,
- SPPI의 요건에 해당되지 않으면 FVPL(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으로 분류해야 합니다.
■ 금융자산의 분류 방법
1. 채무상품 vs 지분상품
1) 채무상품
①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금과 이자로만 구성(SPPI 해당)
- 계약상 원리금 수취 목적 → AC금융자산
- 계약상 원리금 수취 목적 + 매도 목적 → FVOCI금융자산
②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금과 이자로만 구성되어있지 않은 경우(ex. 단기매매목적) → FVPL금융자산
2) 지분상품 → FVPL금융자산
* 지분상품은 기본적으로 SPPI를 만족하지 못함
'K-IF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IFRS 1116호] 판매 후 리스 거래란? (0) | 2022.05.20 |
|---|---|
| [IFRS 1001] 재무제표의 표시 - 상계 (0) | 2022.05.13 |
| [IFRS 1016호] 감가상각 개시시점은 언제인가? (0) | 2022.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