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

[IFRS 1116호] 판매 후 리스 거래란? 기업이 현금(Cash)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사무실을 판매하고, 그 사무실, 차량 등을 다시 임차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판매 후 리스(Sale & Lease Back)라고 합니다. 즉, 판매자(리스이용자)는 현금을 확보할 수 있고, 구매자(리스제공자)는 리스료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IFRS 1116호에는 아래와 같이 규정하고 있습니다.(출처 : 회계기준원) 99 기업은 자산 이전을 자산의 판매로 회계처리할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수행의무의 이행시기 판단에 대한 기업회계기준서 제1115호 의 요구사항을 적용한다. 100 판매자-리스이용자가 행한 자산 이전이 자산의 판매로 회계처리하게 하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115호 의 요구사항을 충족.. 2022. 5. 20.
[IFRS 1001] 재무제표의 표시 - 상계 "상계"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실생활에서는 흔히 '퉁 친다'라고 하기도 합니다. 회계에서는 재무제표 표시 방법 중 상계에 대한 규정이 있습니다. 재무제표는 정보 이용자에게 비교 가능한 정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야하므로 상계에 대하여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습니다. 즉, 규정이 없는 한 상계는 금지하고 있는데요. 규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유형자산과 같은 비유동 자산의 처분 거래는 아주 간혹 발생하는 거래이므로 상계하여 순액만 표시해야 한다고 하는 점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EX) 처분수익100 - 처분비용50 = 유형자산처분이익 50으로 표시 (문단 34) 또한, 외환차손익의 경우에도 상계하여 순액만 표시 가능하지만, 해당 차익과 차손이 중요한 경우에는 구분하여 표시해야 한다고 합니다.(문단 35) [I.. 2022. 5. 13.
[IFRS 1016호] 감가상각 개시시점은 언제인가? 차량을 구입해서 사용하고 나중에 중고차로 매매할 때 감가상각이라는 용어를 많이 들어봤을 것입니다. 국어사전상 감가상각이라는 용어의 정의는 아래와 같습니다. 감가상각 : 토지를 제외한 고정 자산에 생기는 가치의 소모를 셈하는 회계상의 절차 (다만 예외적으로 토지도 감가상각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55 유형자산의 감가상각은 자산이 사용가능한 때부터 시작한다. 즉, 경영진이 의도하는 방식으로 자산을 가동하는 데 필요한 장소와 상태에 이른 때부터 시작한다. 감가상각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5호에 따라 자산이 매각예정자산으로 분류되는(또는 매각예정으로 분류되는 처분자산집단에 포함되는) 날과 자산이 제거되는 날 중 이른 날에 중지한다. 따라서 유형자산이 운휴 중이거나 적극적인 사용상태가 아니어도, 감가상각.. 2022. 5. 13.
기업이 보유한 가상화폐는 금융자산? 무형자산?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의 시세가 아주 큰 폭으로 오르락 내리락 하고 있습니다. 개인이 보유했다면 큰 수익을 거두거나 큰 손실이 날 법한 이 가상화폐를 기업이 보유한다면, 재무제표상 어떻게 분류해야할까요? 최근 이와 관련한 기사가 있었습니다. 가상자산은 무형자산이 아닌 금융자산이라는 기사였습니다. 1) 기업의 생산활동에 사용한다면 무형자산으로 분류할 수 있지만, 가상자산을 생산활동에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고, 2) 무형자산은 장부 가격보다 낮아지면 평가손실을 인식하지만, 반대로 가치가 올라가면 평가이익을 인식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가치가 급변하는 가상자산을 평가하기에 오류가 있다는 논지였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회계기준원(http://www.kasb.or.kr)에서는 아직 정해진바 없다는 의견을 냈습니다. 제 의.. 2022. 5. 13.
FVPL금융자산이란? 오늘은 FVPL(당기손익인식 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FVPL금융자산 - Fair Value Through Profit and Loss - 단기 매매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금융자산을 말합니다. - 공정가치의 변동을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실무상 어디에 쓰이는가? - IFRS1109호에 따라 금융자산의 분류시 SPPI를 만족하지 못할 때 FVPL로 분류해야 합니다. ■ 추가 팁 - 취득원가(수수료 등)도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 SPPI를 만족하지 못하므로 손상차손을 인식하지 않습니다.(애초에 현금흐름이 정해져 있지 않으므로) 2022. 5. 6.
SPPI란? (금융자산의 분류) 오늘은 금융자산 분류에 대한 기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기존에는 회사에서 임의로 금융자산을 분류했다면, IFRS1109호에서는 분류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중요한 분류기준이라고 할 수 있는 SPPI TEST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SPPI 의미 : Solely Payments of Principal and Interest의 약자를 말합니다. -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금과 이자의 지급만으로 이루어진 것 ■ 어디에서 사용하는 개념인가? - IFRS 1109호("금융상품)에서 금융상품의 분류 및 측정에 사용되는 개념입니다. ■ 실무상 어떻게 사용되는가? - SPPI의 요건에 해당되면 AC(상각후원가)금융자산, FVOCI(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으로 분류해야하고, - SPPI의 요건.. 2022. 5. 6.